인플루언서 커머스가 온다

기업분석팀 오린아 연구원

“텔레비전에(X) 유튜브(O)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아무래도 '텔레비전'이라는 동요의 윗 노랫말은 곧 바뀔 것만 같다. 최근 유튜브, 아프리카TV 같은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인기를 얻은 BJ(Broadcasting Jockey), 유튜버(Youtuber)들이 공중파 TV 방송에 진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최근 가수나 영화배우 같은 '스타'가 아니더라도, 그에 못지않는 유명세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 여기저기서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들을 인플루언서라고 정의한다.

과거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블로그 문화가 확산되면서 파워블로거들이 생겨났다면, 이제는 이와 더불어 비디오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인플루언서들이 부상하고 있다.
그들은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 SNS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에서 활동하며 컨텐츠를 만들어낸다. 누구나 유명해 질 수 있고, 유명세를 이용해 누구나 돈을 벌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들의 여러 사업 모델 중 이커머스에 새로운 변화를 불러일으킬 인플루언서 커머스에 대해 살펴보았다. 과거 소매업을 하기 위해서는 판매할 상품의 소싱을 위해 공장을 섭외하거나 거래처를 확보하는 것부터 결제, 포장, 배송에 이르기까지 많은 노력이 필요했으나, 최근에는 이를 대행해주는 업체들도 생겨나고 있다. 판매할 대상인 네트워크(팔로워)만 확보한다면 상대적으로 소매업을 하기가 쉬워졌고, 인플루언서 자체가 움직이는 광고판이기 때문에 광고 홍보를 위해 쓰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편집자 Comment

이 글은 2018년 8월 13일에 발간된 산업분석자료 “인플루언서 커머스가 온다”의 일부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이번 웹진에서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현황과 주요 인플루언서 플랫폼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원본 보고서를 클릭하여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인류의 탄생: 인플루언서

그야말로 신인류의 탄생이다. 가수나 영화배우 같은 '스타'가 아니더라도 그에 못지않는 유명세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 여기저기서 등장하기 때문이다. 22살 에 창업한 브랜드 스타일난다를 로레알에 매각한 김소희 대표만 봐도 그렇다. 인터넷 쇼핑의 성장과 SNS의 확산, 유명세를 등에 업고 매출 1,000억원을 훌쩍 넘긴 이 패션 브랜드는 화장품까지 사세를 확장했고, 세계적인 화장품 기업 로레알그룹에 인수되었다.

과거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블로그 문화가 확산되면서 파워블로거들이 생겨났는데, 이제는 이와 더불어 비디오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인플루언서들이 득세하고 있다. 1)모바일 기기의 보편화로 언제나 어디서나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2)유튜브나 인스타 그램 등 SNS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들이 컨텐츠를 받쳐주고 있기 때문이다. 플랫폼 안 에서 컨텐츠만 만들어낼 수 있다면, 누구나 유명해질 수 있다. 그리고 유명세를 이용해 누구나 돈을 벌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컨텐츠의 생산을 통한 인플루언서들의 탄생
컨텐츠의 생산을 통한 인플루언서들의 탄생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비전에(X) 유튜브(O)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최근 유튜브, 아프리카TV 같은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인기를 얻은 BJ(Broadcasting Jockey), 유튜버(Youtuber)들이 공중파 TV 방송에도 진출하고 있 다. 메이크업 비디오로 인기를 끌고 있는 이사배, 축구 중계 전문 BJ 감스트가 MBC 프로그램 라디오 스타에 출연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사배는 최근 광고 개런티가 1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프리메라'의 광고 영상에 등장하기도 했다. 그는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리기 시작한지 3년만에 180만명의 구독자를 얻었고 공중파 방송에 출연하게 됐다. 참고로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걸그룹 '블랙핑크' 멤버들의 데뷔까지 평균 연습 기간은 5년이었다.

라디오 스타 : 뷰티 크리에이터 이사배 출연
라디오 스타 : 뷰티 크리에이터 이사배
자료: MB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사배 프리메라 광고
이사배 프리메라 광고
자료: 아모레퍼시픽,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또한 감스트는 올해 2월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2018 K리그 홍보대사로 임명되었으며, MBC가 2018 러시아 월드컵 디지털 해설위원으로 초빙하기도 했다. 감스트가 중계한 이번 러시아 월드컵 한국-스웨덴 경기 방송은 동시 최고 시청자수 18만명을 기록해 아프리카TV 역대 최고 동시 시청자수를 달성했고, 한국과 멕시코 경기 중계 시청자수는 35만명을 돌파해 최고 기록을 또 한번 갱신하기도 했다

라디오 스타: 축구 BJ 감스트 출연
라디오 스타: 축구 BJ 감스트 출연
자료: MB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BJ 감스트: K리그 홍보대사 임명
이사배 프리메라 광고
자료: 한국프로축구연맹,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어린이들의 장래희망이 유튜버인 시대

이처럼 인플루언서는 연예인, 스타와 달리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나와 비슷한 사람' 들이며, SNS와 동영상 플랫폼, 1인 미디어 플랫폼의 확산을 등에 업고 유명세를 얻고 있다. 먹방, 쿡방으로 시작됐던 동영상 컨텐츠는 이들이 다양한 분야의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내고 있어 관련 산업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미국의 마케팅 기관 미디어킥스(mediakix)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 규모가 2015년 567억원에서 2020년까지 1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 규모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 규모
자료: Mediakix,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스타그램의 CEO은 케빈 시스트롬은 IGTV 동영상 앱 발표 행사에서 TV를 시청하는 10대들은 5년 전보다 40%나 감소했다고 밝히며, 미래에는 플랫폼 상의 비디오가 발전하고 진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마찬가지로 2016년 일본 어린이들의 장래희망에 54위로 처음 등장했던 유튜버는 지난해 25위로 급상승했고, 올해는 15위에 올랐다. 한국도 다르지 않다. 와이즈앱에 따르면 2018년 4월 국내에서 10대가 유튜브를 사용한 시간은 총 76억분으로, 사용한 앱 중 가장 긴 시간을 소비했으며 전 연령대 중에서도 가장 오래 사용했다. 유튜브를 사용한 시간은 카카오톡(24억분)과 페이스북(16억분), 네이버(11억분), 네이버웹툰(7억분), 캐시워크(4억분)을 모두 합한 것 보다 길었다.

2018년 4월 10대 앱별 사용시간
2018년 4월 20대 앱별 사용시간
2018년 4월 30대 앱별 사용시간
2018년 4월 40대 앱별 사용시간

거부할 수 없는 메가 트렌드

앞으로 제2의 이사배, 감스트는 더 많이 등장할 것이다. 말 못하는 영유아기부터 유튜브로 뽀로로를 보며 자란 세대인 만큼, 동영상 플랫폼에 친숙하고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데에도 익숙하기 때문이다. 200만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 유튜브 채널 '보람튜브'는 5세 크리에이터가 주인공이고 7세 크리에이터가 등장하는 '라임튜브'는 누적 조회수 10억뷰를 돌파했다.

2017년 글로벌 유튜버 수입 순위
순위 이름 카테고리 수입
(백만달러)
수입
(억원)
내용
1 다니엘 미들턴(DanTDM) 게임 16.5 185 마인크래프트, 포트나이트 등 게임 플레이
2 에번 퐁(Vanoss Gamilng) 게임 15.5 174 콜오브듀티, GTA 등 게임플레이
3 듀드 퍼펙트(Dude Perfect) 스포츠
예능쇼
14.0 157 달리는 차에서 대형 다트 던지기, 당구 큐대로 골프 퍼팅 등
4 마크 피시바흐(Markiplier) 게임 12.5 140 게임, 애니메이션, 리액션
5 로건 폴(Logan Paul) 일상 및
리액션
12.5 140 일상, 뮤직비디오
6 펠릭스 셀버그(PewDiePie) 게임 12.0 135 비디오 게임 리뷰
7 제이크 폴(Jake Paul) 코미디,
일상
11.5 129 일상, 상황극, 뮤직비디오
8 스모쉬(Smosh) 코미디 11.0 123 일상, 상황극, 코미디
9 라이언 토이스리뷰(Ryan ToysReview) 장난감 11.0 123 장난감, 유아용 게임 리뷰
10 릴리 싱(Lilly Sing) 코미디 10.5 118 일상, 상황극, 코미디
자료: Forbe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는 전세계적인 메가 트렌드로, 포브스에 따르면 2017년 유튜버 수입 8위에 오른 라이언의 장난감 리뷰(Ryan's Toys Review) 채널은 7세 라이언이 장난감 포장을 뜯고 가지고 노는 내용으로 지난 해 약 120억원에 달하는 수입을 올렸다. 향후 소비 트렌드를 이끌어나갈 세대가 동영상 플랫폼과 컨텐츠에 열광하고 이미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관련 산업 전망과 비즈니스 모델 분석은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다.

인플루언서 트렌드 주도 플랫폼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는 인플루언서 트렌드를 주도하는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2012년 인스타그램을 10억 달러(약 1조 1,000억원)에 인수했 는데, 최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의 현재 가치는 인수 당시 대비 100배 증가한 1,0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찬가지로 구글은 2006년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온라인 비디오 시장에 대한 투자전략의 일환으로 유튜브를 16.5억달러(1조 8천억원)에 사들였다. 그리고 12년 후, 구글의 전망은 정확하게 맞아 떨어졌고, 월스트리트에서 추정하는 유튜브의 가치는 1,600억달러로 100배 증가했다.

모바일 동영상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배경을 바탕으로, 각각 18억명, 10억명이 사용하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의 성장세는 꾸준히 이어질 것이다. 10~20대에서 는 이들을 검색 기능으로까지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플랫폼에 몸담고자 하는 수요도 증가하면서 인플루언서 관련 산업 또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인스타그램-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SNS

인스타그램은 최근 가장 빠른 속도로 사용자가 증가한 SNS다. 2010년 10월 서비스가 시작되고 1년 뒤 사용자수가 1,000만명을 넘어섰고, 2014년 4분기에는 트위터의 사용자 수를 넘어섰다. 2017년 9월에는 월사용자 8억명에 일일 사용자 5억명을 기록했는 데, 올해 6월 기준으로는 사용자수 월 10억명을 돌파했다. 참고로 인스타그램의 모회사인 페이스북이 2억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는 데 소요된 시간이 5년 이상이고, 트위터는 6년 이상이었던 반면, 인스타그램은 서비스 시작 3년 반만에 2억명 사용자를 확보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SNS로 자리매김 했다.

인스타그램 MAU 추이
트위터 MAU 추이
페이스북 MAU 추이
2014년 4분기 인스타그램 MAU 트위터 추월

인스타그램에는 매일 평균 9,500만개의 사진과 비디오가 업로드 되고, 13~29세 연령대에서는 인스타그램 사용자가 60% 이상에 달할 정도로 활발한 활동이 젊은 세대에서 주로 일어나고 있는 앱이다. 2016년 미국의 주요 브랜드들은 인스타그램에 매주 4.9회 사진과 비디오를 포스팅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또한 글로벌 상위 100대 브랜드 중 90%가 인스타그램 계정을 가지고 있어, 시각 효과와 바이럴 효과에 따른 광고 유효성을 방증한다.

연령대별 인스타그램 사용자 비중
자료: eMarketer,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스타그램 가치 6년만에 100배 증가 추정

인스타그램은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바탕으로 페이스북 실적 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2012년 인스타그램을 10억 달러(약 1조 1,000억원)에 인수했는데, 최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의 현재 가치는 인수 당시 대비 100배 증가한 1,0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 광고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약 9.1%였는데, eMarketer에 따르면 이는 2019년 16%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페이스북 內 인스타그램 비중 추이 및 전망
자료: eMarketer,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유튜브(YouTube)-전세계 방문자수 2위 사이트로 우뚝 서다

2006년 구글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온라인 비디오 시장에 대한 투자전략의 일환으로 유튜브를 16.5억달러(1조 8천억원)에 사들였다. 그리고 12년 후, 구글의 전망은 정확하게 맞아 떨어졌고, 월스트리트에서 추정하는 유튜브의 가치는 1,600억달러로 약 100배 증가했다. 유튜브의 매달 로그인 이용자수는 18억명으로, 지난 해 6월 15억명에서 또다시 증가했다. 이는 구글의 메일 서비스 지메일 사용자수인 14억명을 뛰어넘은 수치며, 사용자수 22억명인 페이스북도 바짝 뒤쫓고 있다. 참고로 이 숫자는 로그인 없이 영상을 보는 이용자 수를 제외한 수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수는 18억명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SNS 플랫폼 사용자수(MAU 기준)
자료: 각 사,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전세계 웹사이트 방문자수 순위(2018 년 5 월 기준)
순위 사이트명 Domain 유형 국가
1 구글 (Google) google.com 인터넷 서비스 미국
2 유튜브 (YouTube) youtube.com 동영상 서비스 미국
3 페이스북 (Facebook) facebook.com SNS 미국
4 바이두 (Baidu) baidu.com 검색 엔진 중국
5 위키피디아 (Wikipedia) wikipedia.org 백과사전 미국
자료: Alexa Interne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한국인이 쓰는 앱: 유튜브는 네이버 대비 2 배
자료: 와이즈앱,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한국에서도 유튜브 사용시간은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앞질렀으며 2016년 79억분 대비해 2년만에 3배 이상 늘었다. 특히 동영상에 익숙한 10~20대들 이 검색도 유튜브에서 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내용이다. 올해 2월 열린 네이버 커넥트 2018에서 네이버 한성숙 대표는 10대를 중심으로 유튜브를 통해 검색을 해결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검색 엔진이 유튜브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인 것인데, 실제로 유튜브 내에서 네이버의 지식iN처럼 궁금증을 해소해 주는 How-to 동영상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유튜브 인기 영상 주제 순위(2016년 기준)
순위주제내용
1제품 리뷰제품이나 서비스 체험 후 후기
2how-to어떻게 무언가를 하는지 설명해주고 보여주는 내용
3Vlogs“Video Blog(비디오 블로그)”로 일상과 감정 공유
4게임게임하는 화면 공유
5코미디코미디극을 연출하거나 재미있는 내용
6하울 비디오쇼핑한 물건들을 보여주는 내용
7Meme / tagsMeme(밈),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내용을 다룬 영상
8Favorites / Best of상품 추천이나 의상 추천 등 인플루언서가 의견 공유
9교육교육용 영상
10언박싱 비디오쇼핑한 것이나 택배 등을 처음으로 열어보고 리액션을 공유
자료: Mediakix,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본 자료는 2018년 8월 13일에 발간된 산업분석자료 “인플루언서 커머스가 온다”의 일부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원본 보고서를 클릭하여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플루언서 커머스가 온다.pdf] 원본 다운받기


이베스트투자증권 투자전략팀
오린아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