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는 꿈만 꾸고, 누군가는 그 꿈을 이룬다.
‘더 행복한 인생을 위해 뭘 할 수 있을까?’ 책상에 앉아 고민하는 대신,
김민철 카피라이터는 마음의 방향을 따라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즐거운 일들을 찾아 나서기 시작했다.
기억력은 형편없지만 성실한 기록으로 에세이를 펴내고,
그 좋아하는 술도 집에서만 마시는 ‘집순이’라면서 여행책까지 쓴 그녀는
“마음이 이끄는 대로 선택했던 가치가 당연하고 다행스럽게도 오늘의 나를 만들었다”고 말한다.
김민철 카피라이터 · TBWA KOREA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김민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카피라이터 중 한 사람이다. 광고대행사 TBWA KOREA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reative Director)인 그녀는 SK텔레콤 ‘사람을 향합니다’, ‘생각대로 T’, 일룸 ‘가구를 만듭니다’, e편한세상 ‘진심이 짓는다’, SK브로드밴드 ‘See the Unseen’ 등의 히트 카피를 팀과 함께 만들었다. 베스트셀러도 여러 권 출간했다. 회의시간의 치밀한 필기를 바탕으로『우리 회의나 할까?』를 냈고, 일상의 기록을 바탕으로『모든 요일의 기록』을, 틈틈이 떠난 여행에서의 기록을 통해 『모든 요일의 여행』을 썼다. 최근 펴낸 세 번째 에세이 『하루의 취향』을 통해 김민철 카피라이터는 “행복해지고 싶다면 내 마음에 응답해야 한다”고 단언했다.
Q. ‘취향’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셨어요.
A. 취향이란 말이 어쩐지 우리를 주눅 들게 하는 것 같았어요. 사실 내 취향을 말할 때 조금은 주저하게 되잖아요. ‘나’라는 사람의 선택이 들어간 그 한 가지는 왠지 고급스럽고 독특해야 할 것 같죠. 다들 훌륭하고 멋진 와중에 나만 초라해 보이는 것 같고요. 결국 나를 말할 때조차 스스로 타인의 시선을 끌고 와 비교하게 됩니다. 그런데 사전에서 ‘취향’의 정의를 찾아보니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 또는 그런 경향’이라고 나와 있더라고요. 마음의 방향이라니, 생각보다 심플하고 선명하죠.
Q. 미디어나 SNS의 영향으로 ‘나 자신’이 아닌 ‘타인’의 취향에 휩쓸리기 쉬운 시대죠.
A. 맞아요. 요즘은 자기 자신을 정말 많이 드러내잖아요. 그런데 그 방식을 들여다보면 누군가의 시선을 신경 쓰면서, 남들에게 잘 보이는 방식으로 나를 드러내는 경우가 많아요. 저도 광고회사라는 조직에 있다 보니, 트렌드에 민감한 사람들이 모여 있어서인지 휩쓸리기 쉽더라고요. 좋아하는 음악, 책, 여행처럼 단편적인 것에서부터 사람과 사랑, 일에 대한 것까지, 취향의 영역은 무궁무진해요. 그 넓은 바다에서 나의 취향을 건져 올린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죠. 단순히 옷을 하나 고르는 것도, 어떻게 살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도 취향의 영역이에요. 옷을 고를 때 내 마음을 의식하는 것처럼, 나머지 모든 일에 있어서도 내 마음의 방향을 의식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 방향을 알 수 있는 사람은 나 말고는 없으니까요. 내 마음을 꼼꼼히 파악해서, 나에게 가장 어울리는 선택을 내려야 합니다.
Q. 내 취향을 알아가고, 내 취향에 맞춰 산다는 게 생각만큼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취향이 뭐 그리 중요해?’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무뎌져 있기도 하고요.
A. 내가 ‘이게 내 취향이야!’라고 내 영역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나는 계속 무색무취한 인간으로 남게 될 것 같아요. 내 마음이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 ‘나는 왜 이걸 좋아하는 거지?’ 하고 잠깐이라도 멈춰 서서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사소한 것이라도 내가 나를 존중해줘야 해요. 고상하고 우아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지극히 개인적인 즐거움이니까요. 중요한 건 그 과정에서 계속 스스로와 마주하게 된다는 겁니다. 누구나 ‘지극히 개인적인 즐거움으로 가득 찬 각자의 행성’이 필요하거든요. 나만의 취향 지도 안에서 우리는 좀 더 쉽게 행복에 도달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