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는 나라를 대표하는 도구 중 하나다.
화폐에는 많은 사람들이 존경하고 닮고 싶은 사람의 초상화와 시대상을 보여주는 상징물이 그려져 있다.
이번에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많이 조명된 인물은 아니지만 천 원권 지폐 안에서 인자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퇴계 이황 선생을 중심으로 고뇌하는 지식인이자 제자들의 정신적 지주였던
그의 삶을 따라가 보려고 한다.
성숙한 학문의 세계로 나아가는 의지
퇴계 이황(李滉)(1501~1570)은 조선 중기 학자로 대표적인 사림파다. 사림파는 진보적 개혁가로 주자를 깊이 연구하였으며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적 사상을 계승하였다. 이기이원론은 만물의 존개가 이(理)와 기(氣)로 이루어졌다고 가리키는 이론으로 기대승과 사단칠정(四端七情)에 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이황은 성리학을 통해 군주가 한 가지에 집중할 수 있는 정치를 해야 덕치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여겼다. 성리학을 제외한 이단은 철저하게 배척하였다. 또한 온건 노선을 취하며 전면적 사회개혁보다 군주가 성덕을 갖춰 덕치를 해야 하는 유가의 원론적 가르침을 강조했다. 이러한 그의 확고한 주장과 사상이 학문의 다양성을 갖추기 어려워 개화가 늦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그가 연구했던 성리학은 영남학파로 이어졌으며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끼쳤다.
학문의 동반자들과 함께한 뜨거운 소통
2017년 tvN <알쓸신잡 2> 안동 편에서 이황과 기대승의 치열한 철학적 논쟁이 소개되었다. 이황과 논쟁을 벌인 상대는 31세에 과거 급제를 한 기대승이다. 그 당시 이황은 57세로 기대승과 스물여섯 살이나 나이 차가 났다. 나이, 직급을 막론하고 학문을 중심으로 진지하게 소통했던 이들의 모습이 학문을 대하는 순수함으로 비춰진다. 이들은 13년간 10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였다. 4단은 이(理)에서 7정은 기(氣)에서 나오는 이기이원론을 강조한 이황, 4단은 7정 속에 포함된 이기일원론을 주장한 기대승. 이들은 서로 다른 입장과 생각으로 소통을 이어나갔다.
이황은 4단에서 인간의 품성인 의로움, 예의, 지혜 등이 발현된다고 여겼으며 7정은 기쁨, 노여움, 즐거움, 슬픔 등 보통의 감정이 기의 작용으로 나타난다고 했다. 이와 달리 기대승은 4단, 7정 중 마음에서 나오지 않는 것은 없으며 이치와 기운이 합해진 것으로 봤다. 이들의 다른 주장은 결국 이치가 발현함에 기운이 따르는 4단, 기운이 발현함에 이치가 따르는 7정을 최종 정론으로 삼았다.
특히 이황은 순수한 도덕 감정을 통해 인욕을 누르고 천리를 따라야 하는 수양론의 길을 내세웠다. 그러나 후대에 이르러 기대승의 이론이 우호적이었다.율곡 이이, 정약용이 기대승의 논리에 힘을 실어 이치와 기운이 현실에서 구분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이황은 기대승뿐만 아니라 이이와의 만남에서도 학문적 깊이와 성숙함을 드러냈다. 1558년 23세 청년 이이는 58세 퇴계를 찾아갔다. 이이는 이틀 동안 이황 곁에 머물며 학문을 중심으로 토론을 벌였다. 학문적 입장과 생각이 다른 두 사람이었지만 서로를 칭찬하고 격려한 관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