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부 김예지’의 하루는 새벽 5시에 시작한다. 남들보다 일찍 출근해 오후 4시까지 청소 일을 한다. ‘일러스트레이터 김예지’의 하루는 조금 다르다. 작업실로 출근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쓰고 그리는 작업이 이어진다. ‘청소부 김예지’가 ‘일러스트레이터 김예지’의 경제적 자립 발판을 다져주고 있는 셈이다. 김예지 작가는 27세에 처음 청소 일을 시작했다. 꿈은 저 먼발치에 있고, 눈앞의 생계가 먼저였기 때문이다. 돈 버는 어엿한 어른이 되자 꿈에도 한 발 더 가까워졌다. ‘좋아하는 일’과 ‘해야 하는 일’ 사이의 고민을 쓰고 그린 책 [저 청소일 하는데요?]는 출간 한 달 반 만에 3쇄를 찍을 정도로 독자들로부터 많은 공감을 받았다. 서점가는 물론 각종 방송매체와 SNS에서 화제의 중심에 선 김예지 작가를 만났다.
A. 안녕하세요? 다른 사람들이 저의 이야기에 이렇게 많이 공감해주신다는 게 아직도 신기한데요. 월·수·금요일의 저는 청소부예요. 새벽같이 출근해 병원, 사무실, 다세대주택을 깨끗이 쓸고 닦죠. 화·목요일엔 일러스트 작가로 일해요. 일의 종류와 방식이 보편적이지 않을 뿐, 남들처럼 일해서 돈을 벌고 꿈도 꾸는 평범한 사람이랍니다.(웃음)
A. 내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열망이 컸어요. 어려서부터 만화나 삽화 그리는 걸 좋아했거든요. 회사에 다니면 좀처럼 여유가 나지 않잖아요. 또, 저는 집단생활을 싫어하고 불안 증세도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회사에서 나와 맞지 않은 사람을 매일 봐야 한다는 게 버거운 일이었죠. 언제 잘릴지 모를 비정규직이란 현실도 발목을 잡았고요.
A. 퇴사하고 나서 그림 관련 업종 입사에 줄줄이 실패하고 이런저런 아르바이트를 했어요. 스스로를 책임져야 하는 어른이 됐으니, 마냥 꿈만 좇을 순 없더라고요. 그러던 차에 엄마가 시간 관리하기도 좋고 벌이도 괜찮다며 청소 일을 제안하셨죠. 마침 야쿠르트 배달업을 그만두신 엄마도 저를 따라나서 한 조로 일하셨어요. 청소 일을 시작하고 겨울 한파와 여름 폭염, 봄날의 미세먼지를 매일 뼈아프게 체감해야 했어요. 쓰레기 분리수거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개념 없이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도 비로소 알게 됐죠. 그래도 청소 일은 가성비가 좋아요. 예전 저의 직업이나 다른 아르바이트보다 시간 대비 많은 돈을 많이 벌 수 있고, 내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일정을 짤 수 있다는 장점이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