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직장인 중 89.3%가 새해가 되면 신년 목표를 정한다고 한다.
그중 62.6%는 1개월 이내에 흐지부지 포기하고, 18.9%는 작심삼일은 커녕
아예 시작조차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했던 결심이 왜 용두사미로 끝나는 걸까?
성패는 결국 실행력에서 갈린다. 늘 분주하고 누구보다 바쁘게 살고 있지만 성과가 오르지 않는다면 ‘하던 대로 하면 얻던 것만 얻게 된다’는 이민규 교수의 충고에 귀 기울여야 한다.
멀리 내다보되, 작게 시작하라!
모든 위대한 성취에는 작은 시작점이 있다. 베스트셀러 <실행이 답이다>의 저자인 이민규 교수는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1%’만 바꾸면 된다’는 철학을 전파한 ‘1% 행동심리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03년 출간한 『1%만 바꿔도 인생이 달라진다』는 국내 자기계발서 열풍에 불을 붙였고,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는 100만 부 넘게 팔려나가며 국민적인 지침서가 됐다. 문화관광부 교양부문 추천도서, 삼성경제연구소 선정 CEO 추천도서, 네티즌 선정 올해의 책, 교보문고 창사 30주년 기념 ‘대한민국이 읽은 대작가 25인’ 선정 등등 독자들의 열렬한 지지에는 이유가 있다. 오랜 연구를 근거로 ‘변화가 쉽지 않은 심리학적 이유’와 ‘실천을 쉽게 해주는 지렛대’를 제시해온 이민규 교수는 “하루의 1%, 단 15분만 투자해도 인생이 바뀐다”고 단언한다.
Q. <하루 1%> 집필 전 5년에 걸쳐 ‘변화를 위한 실행력 증진 프로젝트’를 진행하셨다고요.
A. 저는 오랫동안 대학에서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변화와 행동수정 같은 과목을 강의해왔습니다. 누구나 꿈을 이루기 위해 이런저런 결심을 하지만 작심삼일로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 자신의 의지력을 탓하면서 자책하지만, 사실은 심리학적인 원리를 배우면 의외로 쉽게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거든요. 일종의 지렛대라고 할 수 있죠. 그런 지렛대를 널리 알리고 싶어서 독자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했습니다. 제가 보내는 메일을 읽고 그날 밤 12시가 되기 전까지 아주 작은 일 한 가지를 정해 실천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으로 받는 형식으로 실험을 진행했죠.
Q. 새해가 되면 다들 원대한 비전과 전략목표를 세웁니다. 똑같이 우수한 계획을 수립했는데 왜 어떤 사람은 승승장구하고 어떤 사람은 실패하는 건가요?
A. 2019년도 벌써 며칠이 지났습니다. 자, 어떠신가요? 모두들 신년 결심을 잘 지키고 계신가요? 연초에 시작했던 운동, 벌써 그만둔 건 아닌지요? 혹시 끊었던 담배를 다시 피우고 있지는 않은가요? 그러면서 자괴감이나 자포자기 심정이 생기진 않았나요? 변화를 시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의욕이 넘쳐 거창하게 결심하곤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저런 사정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게 되면 ‘에라 모르겠다!’ 하면서 포기하게 되고, 이런 일이 반복되면 우리 머릿속에 ‘그럼 그렇지~’, ‘역시 나는 안 돼!’, ‘해봤자 소용없어!’라는 생각이 자리 잡습니다. 그러다 얼마든지 실천할 수 있는 작은 결심조차도 중도포기하는데, 이런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학습된 무력감’이라고 합니다.”
Q. 그렇다면 ‘학습된 무력감’에서 빠져나오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성공경험의 반복을 통해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갖는 겁니다. 계획과 목표에 집착하면서 정작 아무것도 바뀌지 않은 유형이었다면, 성공확률이 높은 만만한 일부터 해보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아침형 인간이 되고 싶다면 우선 ‘일주일에 3일만 새벽 6시에 일어나기’부터 시도해보세요. 작은 결심 하나하나를 성공적으로 실천하다 보면, 우리 머릿속에는 ‘A를 해냈다면 B도 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자리 잡습니다. 성공이 또 다른 성공을 부르는 거죠. 아주 ‘사소한 실천’을 한번 해내고 ‘작은 성공의 경험’을 쌓으면, ‘해냈다’는 성취감을 계속해서 맛보려는 인간의 본성을 통해 의욕과 동기가 자동으로 촉발되거든요. 무언가 할 만하다고 느낄 때 몸은 뇌보다 빨리 움직여요. 동기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해냈다’는 경험을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